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0

갑신정변 대기업의 재벌 3세들이 모여 '대기업 해체', '경제적 평등'을 외치며 청와대를 점령하는 시위를 벌였다면 어떨까요? 이런 일이 현실에서 일어날까요? 믿기 어렵겠지만, 지금으로부터 약 140년쯤 전에 이와 비슷한 일이 있었습니다. 3일 천하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는 갑신정변입니다. 이번 장에서는 갑신정변의 발생과 전개, 영향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개화파의 분화와 정변의 준비 임오군란 이후 청의 간섭이 심해졌습니다. 개화 사상을 가지고 있던 개화파는 청에 대한 태도와 개혁의 속도를 놓고 두 개의 파로 나뉩니다. 먼저, 청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취했던 김홍집 등의 온건개화파가 있습니다. 이들은 청을 개혁의 모델로 삼고 동도서기론을 바탕으로 개혁을 추진하려고 했습니다. 동도서기론이란 '도는 동양의 것으로 삼고, .. 2023. 8. 17.
개항과 개화, 임오군란과 위정척사 운동 여러분이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습니다. 한 달이 지나고 월급날이 되었는데, 사장이 사정이 어려우니 조금만 기다려달라고 합니다. 다음 달 월급날에도 똑같이 이야기합니다. 그렇게 13개월 동안 월급이 밀렸습니다. 마침내 사장이 13개월치 월급을 준다고 합니다. 기쁜 마음으로 출근했더니 정말로 두툼한 돈봉투를 건네줍니다. 너무나도 신난 나머지 친구들을 다 불러 놀이동산으로 향했습니다. 그곳에서 자유이용권을 끊고 계산하려고 돈봉투를 연 순간! 그 속에는 현금 대신 보드게임용 모형지폐가 잔뜩 들어 있었습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여러분은 어떻게 할까요? 당장 편의점 쫓아가서 사장을 응징하지 않았을까요? 그누구라도 이 상황에서 큰 분노를 느낄 것입니다.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날까요? 믿기 어렵겠지만, 지금부터.. 2023. 8. 17.
흥선대원군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 시대 왕은 주로 '종'이나 '조'로 끝납니다. 물론 예외도 있습니다. 연산군, 광해군과 같이 반정으로 왕위에서 쫓겨난 왕의 경우에는 '군'으로 끝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오늘의 주인공, 흥선대원군은 어떤 경우일까요? 그냥 '군'도 아니고 '대원군'이니 뭔가 더 대단한 위치에 있었던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흥선대원군의 조선 26대 왕 고종의 아버지입니다. 왕조 국가에서는 아버지가 사망한 다음 아들이 왕위를 물려받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아들이 임금인데 아버지 흥선대원군은 멀쩡히 살아있었습니다. 살아있었을 뿐만 아니라 약 10년 동안 아들 고종을 대신해 국정을 주도하기도 했었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요? 고종의 즉위, 그리고 흥선대원군의 10년 간의 집권 고종이 즉위할 19세기.. 2023. 8. 17.
개화기의 시작 조선 시대를 떠올려보세요. 상투를 틀고 갓을 쓴 사람이 떠오르나요? 우리는 언제부터 지금처럼 머리카락을 짧게 자르기 시작했을까요? 또, 조선 시대를 떠올려보세요. 양반에게 머리를 조아리는 노비가 떠오르나요? 신분제는 언제 없어졌을까요? 조선 시대 집을 떠올려보세요. 기와집, 또는 초가집이 떠오르나요? 우리는 언제부터 지금처럼 콘크리트와 철근을 이용해 건물을 짓기 시작했을까요? 우리는 언제부터 빵과 파스타를 먹기 시작했을까요? 우리는 언제부터 한복 대신 양복을 입기 시작했을까요? 우리는 언제부터 전기와 전화를 쓰기 시작했을까요? 기차와 자동차는 언제부터 타기 시작했을까요? 이 질문들의 답은 모두 이 시기에 집중됩니다. 바로 개화기입니다. 개화기란 다른 말로 구한말이라고도 하는데, 조선 말~대한제국 시기를 .. 2023. 8.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