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0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어린 나이로 국회의원에 당선된 사람은 누구일까요? 바로 김영삼입니다. 무려 만 25세의 나이로 국회의원에 당선이 되었거든요. 이후 8번이나 더 당선되어 무려 9선 의원을 지냈고 14대 대통령을 역임하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사람 중 최초로 노벨 평화상을 받은 사람은 누구일까요? 바로 김대중입니다. 15대 대통령을 지낸 김대중은 40년 간 한반도와 동아시아 전반의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0년 12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한국인 최초로 노벨평화상을 받았습니다. 김영삼과 김대중은 정치적 라이벌로 알려져 있는데, 사실은 오랜 기간 민주화 운동을 함께 해온 정치적 동지였습니다. 박정희-전두환 정부 시기의 독재 체제에 끊임없이 항거하였고,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답니.. 2023. 8. 14.
현대사 3대 민주화 운동 한강의 기적이라는 말 들어봤나요? 일본 식민지배와 이어진 6.25 전쟁으로 황폐화되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였던 우리나라가 50여 년이라는 매우 짧은 기간에 세계 선진국의 반열에 오른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주로 경제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말을 하는데, 우리나라는 정치적으로도 매우 짧은 시기에 민주화를 이룬 세계에서 보기 드문 성과를 이루기도 했습니다. 눈을 돌려보면 과거에 식민지배를 경험한 나라 중에는 우리만큼 성장한 나라가 드뭅니다. 대부분은 독재 체제가 아직도 이어지고 있거나, 경제적으로 매우 궁핍한 상태입니다. 우리나라는 경제 성장과 정치적 민주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그야말로 '기적'을 이루어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현재 우리가 누리는 정치적 자유를 가능하게 한 3대 민주화 운동에.. 2023. 8. 14.
박정희 정부(1960년대~1970년대) 아프리카의 가난한 한 나라를 떠올려보세요. 그리고 그 나라가 2,30년 후에 우리나라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나라가 되었다고 상상해 보세요. 말도 안 된다고요?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났습니다. 그것도 아프리카가 아닌 아시아에서요. 그 나라는, 바로 우리나라입니다. 지난 장에서 우리나라가 6.25 전쟁으로 산업시설과 농경지가 황폐화되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로 전락했다고 한 것 기억나나요?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이런 상황에서 벗어나기 시작했을까요? 1960년대 경제 성장에 주력하던 시기 박정희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경제발전과 독재. 아마 이 두 가지가 함께 떠오를 것입니다. 맞습니다. 경제발전의 시작점에 서 있는 사람도 박정희요, 독재체제의 한복판에 서 있는 사람도 박정희입니다. 그런데 박정희가.. 2023. 8. 14.
6.25 전쟁(1950~1953) 우리나라는 6.25 전쟁 전에 분단되었을까요? 6.25 전쟁으로 분단되었을까요? 많은 경우 6.25 전쟁으로 우리나라가 분단되었다고 답변을 합니다. 왠지 전쟁하고 나서 분단되었을 것 같은 느낌이 들거든요.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지난 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948년에 이미 남북에 각기 다른 정부가 세워졌습니다. 그리고 6.25 전쟁으로 인해 분단이 더욱 고착됩니다. 6.25 전쟁의 시작과 위기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경 북한군이 일제히 38선을 넘어 기습 공격을 하면서 6.25 전쟁이 시작됩니다. 남북한에 각기 다른 정부가 수립된 이후 38선 부근에서 끊임없이 크고 작은 전투가 있었습니다. 때문에 6.25 전쟁 발발 당시만 해도 우리 정부에서는 그리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해요. 그저 .. 2023. 8. 13.
반응형